논문검색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4no. (2024)
pp.59~84
초기성인 여성의 애착외상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본 연구는 애착 외상이 있는 초기성인 여성에게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애착 외상의 변 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교 1학년 초기성인 여성으로 학업 부진, 자기비난, 우울을 호소하였다. 주 1회 50분간 총 35회기로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애착 외상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회기일지, 축어록, 그림 자료와 MMPI-2, BDI, KFD 검사 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초기 애착을 재현하고 억압했던 감정을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한 비난이 줄어들고, 정서를 관리하고 조절하게 되었으며, 손상된 자기 체계를 재구성하여 자기 성찰을 통한 돌봄을 하게 되었 다. MMPI-2와 BDI에서 우울 점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FD 인물상 의 위치와 특성, 거리와 내용 면에서 애착의 기반인 가족 관계에 변화가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애착 외상이 있는 초기 성인 여성의 인지, 정서, 현실의 영역에서 내 적 역량 강화로 자신에 대한 자각과 삶에 대한 확장, 가치관 및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 여 논의하였다.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Attachment Trauma of Early Adult Women
trauma by applying art therapy to women who are early adults with attachment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men who were early adults in their first year of university, complaining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From November 2021 to February 2023,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in a total of 35 sessions. To examine the changes in attachment trauma, changes in attachment trauma were compared using session diaries, livestock records, picture data, and MMPI-2, BDI, and KFD 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ble to reduce criticism of themselves, manage and control emotions, and reconstruct the damaged self-system to care through self-reflection. This change could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depression score in MMPI-2 decreased from 76 points to 58 points and the BDI scores decreased. In addition, changes in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KFD person, and in distance and content, also changed the family relationship, which is the basis of attachment. These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values, self-awareness, expansion to life, and attitudes by strengthening internal competence in the areas of cognition, emotion, and reality of early adult women with attachment traum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