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논문검색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4no. (2024)
pp.27~58

DOI : 10.34167/cliart.14.1.202404.027

반응작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오영미

(인천행복한돌봄 동암지역아동센터 시설장)

김갑숙

(전)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학과 교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반응작업을 활용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 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 남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다. 미술치료는 매주 1회, 회기당 90분 씩 반 구조화 방법으로 13회기를 진행하였다. 현장 텍스트는 면담일지, 미술치료 회기 축 어록, 연구참여자의 그림과 연구자의 반응 그림 등을 활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마음속의 놀이터에서 그리워했던 아빠 를 만나다.’, ‘부모의 갈등으로 두려움과 공포에 휩싸인다.’, ‘나를 괴롭히는 친구를 이기고 싶어요.’, ‘놀랄만한 일을 가족에게 보여주고 싶어요.’, ‘미래로 이어지는 길을 찾아가고 있 어요. 와 같이 5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경험의 의미는 ‘어린 시절 의 그리움과 두려움 속에서 살아낸 자신을 마주한다.’, ‘상징적인 이미지 표출은 꿈과 희 망으로 이어진다.’, ‘상상에서 벗어나 현실의 자리로 돌아오다’로 도출하였다. 반응작업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참여자와 연구자의 원활한 소통으로 내면의 깊은 감정들을 표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아빠와 함께하고 싶은 얼어붙은 어린 시절에서 벗어나 친구들과 함 께 미래를 설계하는 시간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Exploring the Narrative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Response Work

Oh, Young-Mi

Kim, Gab-S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n adolescent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his meaning is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using response work. A participant in the study is a male student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born to a Korean father and a Vietnamese mother.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and 13 session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method. For the field text, an interview diary, an art therapy session record, a picture of the study participant, and a reaction picture of the researcher were used, and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For the art therapy experience story, 'Meet the father I missed at the playground in my heart,' 'Fear and fear are overcome by parental conflict', 'I want to beat the friend who bothers me', 'I want to show my family something amazing', and 'I am finding a way to lead to the future'. It appeared with five themes.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derived as 'facing oneself who lived in longing and fear of childhood', 'expression of symbolic images leads to dreams and hopes', and 'coming from imagination and returning to the place of reality'. Art therapy using reaction work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ress deep inner emotion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time to escape from the frozen childhood of wanting to be with my father and design a future of hope with frien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34956] 대전광역시 중구 계백로 1712,(문화동 1-13) 기독교연합봉사회관 3층 301호 / TEL: 042-524-8100 / 042-524-8275 / FAX: 042-524-8101
COPYRIGHT(C) 2011 BY CHILDSUPPORT.RE.KR ALL RIGHTS RESERVED.